목록신학 (38)
Silver_castle
사중복음의 현대적 의의 성결교회는 1945년 재흥 총회에서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사대 표제를 전도 표제로 제정하여 웨슬리가 주장하는 성결의 도리와 함께 힘써 전하여 옴으로 또 하나의 특징적인 전통을 이루어 오고 있다.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면, 이는 미국의 만국 성결교회에 이어 동양선교회가 그들의 본 사명인 성결운동에 있어 주님의 재림과 신유의 진리들을 적절하게 주장하는 것이 참 중생과 촉진하는 운동에 도움이 된다고 믿어 그들이 본래 강조하여 오는 중생과 성결에 재림과 신유를 첨가하여 전하는 것을 전도의 주제로 삼아온 바, 이를 교회 헌법에 전도표제로 제정한 것이다. 이에 성결교회는 본 교회의 사명을 `요한 웨슬레가 주장하던 성결의 도리를 그대로 전하려는 사명하에서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복음..
1. 반달족이란? 반달족은 오늘날 폴란드 남부 지역에서 거주했던 동부 게르만족의 일파로, 게르만족 대이동 때 고트족과 비견될 만큼 장거리로 이동했다. 그들은 로마에서 가장 부유한 곡창지대였던 카르타고 지역을 점령하여 강력한 해상왕국을 건설했다. 반달족의 어원에는 여러 학설이 있다. 떠돌다 라는 뜻을 가진 `wand-`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는 것과 스웨덴의 지명인 벤델(Vendel)과의 연관성이 있다는 관점, 또한 게르만족의 전설적인 영웅인 아우르반딜(Aurvandil)을 선조로 받아들여 반달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는 학설 등이 있다. 반달족은 실링기(Sillingi)와 하스딩기(Hasdingi)라는 두 집단으로 나뉜다. 실링기 부족은 슐레지엔 지방에서 살아갔으며, 로마를 침공하고 대 이주를 감행하는 반..
신약에 나타난 우상숭배 데메드리오 데메드리오는 우상숭배에 필요한 물품으로 많은 돈을 번 이방인이다. 그는 그리스신화에서 사회의 질서를 관장하는 여신 데메테르를 섬기던 사람으로, 우상숭배를 위해 각지에서 아카데미 신전으로 몰려든 사람을 대상으로 장사했다. 그가 했던 일은 구체적으로 `은으로 아데미의 신상 모형을 만드는 은장색`(행 19:24)으로, 아데미 신전의 조형물인 은감실을 만드는 직공의 조합장 역할을 하였다. 승승장구하던 이들의 사업에는 문제가 생겼다. 소득이 줄고 은장색의 수입이 점점 감소한 것이다. 이에 조합장 데메드리오가 나서 수입 감소 원인을 규명하도록 했고, 결국 이러한 원인이 당시 에베소 지방에 머물며 복음을 전하고 있었던 사도 바울에 의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두란노서원의 강론과 회당강..
무엇이 우상숭배인가? 우상숭배에 관한 문제는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를 목적으로 하는 기독교의 핵심적인 주제들 중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우상숭배에 관한 이슈들이 다시금 떠오르게 된 이유는 극단적 자기중심주의와 같이 인간 스스로가 삶의 주인이 된 채 하나님과의 관계를 스스로 끊어버리는 활동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돈과 명예, 육적 쾌락과 같이 불완전한 가치만을 좇아가는 이러한 탐욕적인 세태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우상숭배 하도록 계속해서 유혹하고 있기 때문일 수 도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인들은 어떻게 그들의 믿음을 지킬 수 있을까? 아마도 그것은 오직 말씀과 그로부터 주어지는 교훈들로서 가능할 것이다. 그렇기에 나는 성경에 나오는 인물들을 통해 우상숭배가 과연 무엇을 의..
1. 마르시온의 이단 사상과 성경 정경화에 끼친 영향 2세기 초 흑해의 남쪽 해안 출신으로 신앙심이 돈독했던 마르시온은 로마에서 영지주의를 접하게 되고, 이후 그의 신학적 배경으로 삼게 된다. 영지주의는 철저한 이원론에 입각하여 물질은 악한 것으로, 영혼은 선한 것으로서 보았는데, 그들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던 마르시온도 율법과 복음, 구약과 신약, 이스라엘과 교회 등과 같이 거의 모든 영역에서 철저한 이원론적 사고를 고수했다. 특히, 그는 구약의 하나님에 대해 정의를 요구하면서 복수극을 벌이는 불완전한 성품을 소유했다고 보았던 반면, 신약의 하나님은 알 수 없는 아버지로서 선할 뿐만 아니라, 자비와 용서와 사랑을 가르치는 하나님으로 이해했다. 다시 말해, 하나님을 `악한 하나님`과 `선한 하나님`으로 구..
I. 루터 신학의 출발점 : 십자가의 신학 종교개혁을 위하여 루터 자신이 사용한 신학적 용어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십자가의 신학`이란 개념이다. 이 개념이 뜻하는 바는, 기독교 신앙과 신학의 중심은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에 있다는 것으로, 계시론적 전망에 있어서 `자연 신학`과 `자연 계시`를 거부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루터는 하이델베르크 논쟁의 열아홉 번째 결론에서 “창조된 것으로부터 비가시적 하나님의 존재를 이해하고 아는 자가 신학자가 아니라, 하나님의 존재와 세상을 향하신 그의 뜻이 고난과 십자가에 표현되어 있다고 이해하는 자가 참된 신학자”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루터는 “오직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이며, “십자가가 모든 것을 시험한다”라고 강변한다. II. 구원론의 전제들..
라인홀드 니버가 주장한 “기독교 현실주의”의 배경이 되는 니버의 인간 이해와 목회적 상황 기독교 현실주의란 윤리가 진정으로 기독교적이기 위해서는 윤리 자체가 삶의 실재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기독교적으로 해답을 줄 수 있는 윤리여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니버의 고민은 기독교의 진리가 삶의 현장 가운데서 실제적으로 접목될 수 있는 윤리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그렇기에 니버는 성경의 진리에 기초한 인간의 이해를 다시금 재검토해야만 했다. 그에게 있어서 인간은 언제나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였고, 그렇기에 그에게 있어 인간은 윤리를 논하기 전에 먼저 살펴야 할 대상이었다. 니버는, 인간은 그 자신에게 문제다라고 말함으로서, 인간의 본성에 관해 기술한다. 인간에 관한 고전적인 그리고 현대적인 견해 모두..
도마복음서의 이해 감상문 도마복음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이 아니다. 왜냐하면 도마복음은 독자로 하여금 신약에서 등장하는 예수와는 다른 또 다른 예수를 만나게 함과 동시에 우리가 알고 있는 그리스도교에 대한 생각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도마복음은 개인적인 이해보다는 전문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이에 다음에서는 `도마복음의 이해`의 저자를 가이드 삼아 그가 전달하는 내용을 요약하고 그에 대한 소감을 적어보려고 한다. 낙 함마디 문서와 영지주의 영지주의가 기독교 이단이며, 인간의 사악함에서 비롯된 사도적 가르침이라는 견해는 초대교회 이단 연구자들로부터 비롯되어 19세기까지 이어지게 된다. 그러나 19세기 말 종교사학파를 구성하였던 부쎄트와 라이첸슈타인과 같은 학자들은 영지주..